이장희 2집(Young Festival vol. 4
1973년 유니버어살 K-APPLE-780
01.헝크러진 내머리
02.애인
03.마지막 노래
04.비의 나그네
05.내사랑 제인
06.꿈 이야기
07.겨울 이야기
08.그대여 눈을 감아요
01.헝크러진 내머리
02.애인
03.마지막 노래
04.비의 나그네
05.내사랑 제인
06.꿈 이야기
07.겨울 이야기
08.그대여 눈을 감아요
스마트폰 듣기
포크 가수 이장희가 발표한 수많은 음반 중 가장 희귀한 앨범이다.
‘콧수염 가수’의 원조로 알려진 그가 드물게 콧수염 없는 사진으로 앨범 커버를 장식하고 있다.
수록곡 중 <겨울이야기>는 국내 대중가요에 이야기하는 듯한 구어체 가사를 도입한 최초의 토크송이다.
이장희 2집 / Young Festival Vol.4 앨범 앞면
포크 가수 이장희의 콧수염 없는 유일한 사진
1973년 유니버샬레코드의 시리즈 음반 「영 페스티발 4집」으로 발매한 이장희의 2집 음반은
‘콧수염 가수’의 원조로 알려진 그가 콧수염 없는 모습으로 실린 희귀 음반이다.
총 7곡의 수록곡 중 이장희의 창작곡이 5곡이고, 나머지 2곡은 각각 조동진의 곡
<마지막 노래>와 번안곡 <내사랑 제인(Lady Jane)>이었다.
포크 명곡이 가득한 이 앨범에서는 전자음을 배제한 1970년대 순수 포크의 원형을 경험할 수 있다.
감각적이면서도 듣는 이를 공감하게 하는 솔직담백한 가사는 유려한 멜로디와 어우러져
더 큰 감동으로 다가온다.
타이틀곡은 <헝크러진 내 머리>와 <꿈 이야기>였다.
이는 송창식이 훗날 히트시킨 <애인>과 <비의 나그네>의 오리지널 버전이다.
<꿈 이야기>는 러닝타임이 11분에 달하는 한국 포크의 숨은 명곡이다.
<겨울이야기>는 홀로 화실을 운영하며 은둔했던 우울한 시절의 경험을, 절친했던
소설가 최인호의 도움을 받아 가사로 형상화한 곡이다.
가사에 이야기하는 듯한 구어체를 도입한 이 노래는 국내 대중가요 최초의 토크송이었다.
1970년대 청년 세대의 정서를 대변한 노래들
이장희의 진가는 기성세대에 저항했던 1970년대 청년 세대의 정서를 담은 가사와 탁월한 작곡 능력에 있었다.
사랑타령 아니면 알쏭달쏭한 시적 가사로 일관했던 당시 대중가요와 달리,
이야기하듯 자유로운 구어체로 노래한 그의 작품은 신선했고 상업적으로도 성공했다.
포크 록 가수로 각인된 이장희의 전성기 이전, 데뷔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풋풋했던 그의 음악을 담은 이 앨범은
소박하고 순수했던 시절의 낭만이 가득하다. 비록 크게 히트한 곡은 없지만,
1970년대 가장 영향력 있는 포크 가수였던 이장희의 디스코그라피에서 중요한 음반이다.
당시 크게 각광받은 시리즈 앨범은 여러 가수의 노래를 수록한 컴필레이션 음반이 일반적이었다.
한데 이장희의 이 앨범은 유니버샬레코드의 ‘영 페스티발 시리즈’ 중 하나인데도 독집 음반 형식이었다.
이로 미뤄보아 당시 그의 존재감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다.
가창력은 그리 뛰어나지 않았지만, 이장희는 1970년대 청년 음악의 아이콘이자
젊은 세대의 우상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다. 이 앨범은 2015년 리듬온에서 LP로 재발매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장희 2집 / Young Festival Vol.4 - 이장희 (가요앨범 리뷰, 최규성)
'가요방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미미(먼데서 오신 손님)/나훈아(그정 못잊어) (1971) (0) | 2021.02.11 |
---|---|
이장희 (그건 너 / 누구일까)(1973) (0) | 2021.02.11 |
이장희 1집 Young Festival Vol.1 (1972) (0) | 2021.02.11 |
전창규(사랑하는 옥이)/이승연(너무 그리워)(1972) 114 (0) | 2021.02.11 |
임주리 (야 곰례야/이대로 떠나렵니다) (1979) (0) | 2021.02.11 |